축구와 풋살의 차이
'Attraction > Soccer&Futs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키 티엠포4 미스틱 AG (0) | 2013.09.04 |
---|---|
미즈노 이그니터스 2 AS (0) | 2013.04.18 |
아디다스 클라이마 팀 백 미디엄 - 축구 가방 (0) | 2013.04.13 |
|
나이키 티엠포4 미스틱 AG (0) | 2013.09.04 |
---|---|
미즈노 이그니터스 2 AS (0) | 2013.04.18 |
아디다스 클라이마 팀 백 미디엄 - 축구 가방 (0) | 2013.04.13 |
아디다스 클라이마 팀 백 미디엄
큰 맘먹고 축구 가방을 하나 질렀다.
기존에 그냥저냥 들고 다니던 캔버스 가방을 축구 가방용으로 썼는데..
빨래 한번 돌린 후 살아나질 못해서 긴급수혈이 필요했다.
인터넷에 "축구가방"이라고 치면 다 비슷비슷하게 생겼더라..
그중에 나이키 브라질리아인가가 눈에 들어와서 한참 가격 비교를 하고 있었던차에..
길거리에서 실제로 그 가방을 보고는 포기했다.
브라질리아는 일단 로고 빼고는 평범하고 재질이 내가 원하던 재질이 아니었다.
그렇게 폭풍 검색질 끝에 찾아낸게 아디다스 클라이마..
가격도 3만원대로 적당하고...
외관은 방수 소재에 크기도 적당해서 축구화 축구공 갖가지 옷을 넣고도 공간이 남는다..
뭐니뭐니 해도 역시 아디다스는 삼색선이 최고인거같다.
빨리 개시를 하고 싶은데 흠...
기회가 오질 않네..
나이키 티엠포4 미스틱 AG (0) | 2013.09.04 |
---|---|
미즈노 이그니터스 2 AS (0) | 2013.04.18 |
축구와 풋살의 차이 (0) | 2013.04.14 |
안드로이드는 다양한 화면의 크기와 pixcel을 제공하는 장치에서 실행된다.
이에 시스템은 다른 화면 구성을 위한 UI설계 최적화의 크기 밀도등에 대한 API를 제공한다.
-. Screen size
화면의 대각선으로 측정한 실제 물리적크기
-. Screen density
화면의 물리적인 영역에서 픽셀의 양. 일반적으로 dpi(dots per inch)라 한다.
-. Resolution
화면의 물리적인 pixel읠 총 개수이다.
-. Density-independent pixel (dp)
UI layout을 정의할때 layout의 크기 및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단위이다.
기준 밀도는 160 dpi(medium) 이며 이는 1dp가 1px이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계산시 화면 pixel 단위의 변환은 pixel = dp*(dpi/160) 이다.
반대로 dp를 계산한다면 dp=pixel/(dpi/160)이 된다.
예를 들어 WVGA의 경우
1dpi에 대한 pixel 값을 구하려면 480*(1/160) 이므로 1dpi는 3 pixel이 된다.
-. Android 4.2 기준 (http://developer.android.com/tools/revisions/platforms.html)
Nexus 7 (7.3", 800 x 1280, Large tvdpi screen) Galaxy Nexus (4.7", 720 x 1280, Normal xhdpi screen) Nexus S (4.0", 480 x 800, Normal hdpi screen) Nexus One (3.7", 480 x 720, Normal hdpi screen) 10.1" WXGA Tablet (1280 x 800, X-Large mdpi screen) 7.0" WSVGA Tablet (1024 x 600, Large mdpi screen) 5.4" FWVGA (480 x 854, Large mdpi screen) 5.1" WVGA (480 x 800, Large mdpi screen) 4.7" WXGA (1280 x 720, Normal xhdpi screen) 4.65" 720p (720 x 1280, Normal xhdpi screen) 4.0" WVGA (480 x 800, Normal hdpi screen) 3.7" WVGA (480 x 800, Normal hdpi screen) 3.7" FWVGA slider (480 x 854, Normal hdpi screen) 3.4" WQVGA (240 x 432, Normal ldpi screen) 3.3" WQVGA (240 x 400, Normal ldpi screen) 3.2" QVGA ADP2 (320 x 480, Normal mdpi screen) 3.2" HVGA slider ADP1 (320 x 480, Normal mdpi screen) 2.7" QVGA slider (240 x 320, Small ldpi screen) 2.7" QVGA (240 x 320, Small ldpi screen) |
ldpi |
low-density screens ~120dpi |
mdpi |
medium-density screens ~160dpi (일반적으로 baseline이다) |
hdpi |
high-density screens ~240dpi |
xhdpi |
extra high-density sreens ~320dpi |
nodpi |
독립적인 dpi로 device에 일치하고 싶지 않을때 사용한다. |
tvdpi |
mdpi와 hdpi의 사이로 약 213dpi정도이다. tvdpi는 일반적인 dpi로 간주되지 않으며 이름 그대로 tv을 위해 만들어 놓은것으로 일반적인 app에서는 대체로 사용되지 않는다. tvdpi를 사용할 경우 size는 1.33*mdpi로 생각해야한다. 예를 들면 mdpi화면에 대한 100px X100px 이미지의 경우 tvdpi는 133px X 133px로 해야한다. |
xxhdpi |
extra high-density screes 에서 extra가 하나 더 붙은거로 ~480dpi |
android 3.2부터 제공된 것으로 기존에는 device의 size 및 pixel만 알면 사용이 가능하였는데 개발측면에서 더 폭넓게 resource size를 사용하도록 만든 개념으로 이해된다.
android developer 사이트에서 대략적인 설명이 되어있는데 잘이해가 가지 않는다...;;
-. smallestWidth
sw은 smallestWidth로 가로/세로중 좁은쪽을 말한다. 이는 고정화면크기 특성이며 화면의 방향에 따라 변경되진 않는다.
sw320dp-hdpi 와같이 resource를 지정시 사용된다.
예로 320dpi (1280 x 720, Normal xhdpi screen) 를 가진 device가 있다고 하면 320dpi에 1280 x 720이므로
320dpi : 720 px = 160dpi : x 이므로 방정식으로 계산하면 x 값은 360dp
즉, 해당 resource는 sw360dp-xhdpi의 폴더가 적용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320dpi는 단말의 정확한 dpi가 아닌 build시 고정된 값으로 된다. 이 값은 [ro.sf.lcd_density]에 정의되어있다.
참조 : http://developer.android.com/guide/practices/screens_support.html
[Android/Tip] Interface (0) | 2013.07.13 |
---|---|
[Android/Exception] -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0) | 2013.07.13 |
[Android] Parcel (0) | 2013.07.13 |
[Android/Tip] ListView getView 중복 호출 (0) | 2013.05.06 |
[Android/Tip] - adjustResize in Fullscreen (1) | 2013.04.17 |